청년의 시간은 빠릅니다. 월급의 숨결이 채 식기도 전에 고물가와 고금리가 지갑을 스쳐 지나갑니다. 그 거센 바람 속에서도 다섯 해를 견디면 목돈 하나를 손에 쥐게 하겠다는 약속, 그것이 ‘청년도약계좌’입니다. 2025년 들어 제도는 더 넓어지고, 길은 더 분명해졌습니다. 이 글은 검색의도를 정확히 겨냥한 실무형 가이드이자, 끝까지 읽을수록 가입 여부와 납입 전략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설계도입니다.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 정부기여금 확대(’25.1월~): 월 70만 원 납입 시 최대 3.3만 원까지 정부기여금 매칭(추가 구간 3.0% 적용) → 일반적금 대비 연 최대 9.54% 효과로 상향.
- 부분 인출 & 신용점수 가점(’25 하반기~): 가입 2년 이상이면 원금의 최대 40% 범위 내 부분 인출(1회 한정) 가능, 성실 납입자는 신용점수 5~10점 가점(NICE·KCB 기준).
- 가구소득 기준 완화: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24 개선) + 개인소득 총급여 7,500만 원 이하(6,000만~7,500만 원 구간은 비과세만 적용).
- 중도해지 완화: 3년 이상 유지 후 부득이한 중도해지 시 비과세 유지 + 정부기여금 60% 지급.
- 연계 가입 팁: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일시납입하고 정부기여금도 일시 매칭 가능.
- 중요 변화 예고(세법개정안): 비과세 적용기한, 2025년 내 가입분까지만 유지하는 일몰 방향(정부안). 2026년 이후는 대체 상품(예: ‘청년미래적금’) 검토. 비과세·기여금 혜택을 받으려면 2025년 안 가입이 유리.
1. 청년도약계좌란?
만기 5년(60개월) 동안 월 1천 원~70만 원을 자유 납입하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가 함께 붙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금리는 3년 고정 + 2년 변동 구조이며, 은행이 자율 결정합니다.
한 달의 작은 결심이 다섯 해를 넘어 목돈이 되는 길. 제도는 간결하고, 혜택은 정확합니다.
2. 2025년, 무엇이 더 좋아졌나(업데이트 포인트)
2-1. 정부기여금 ‘구간 확대 + 3% 추가 매칭’
이제 모든 소득구간에서 월 70만 원 납입 전체에 대해 매칭이 가능해졌습니다. 예컨대 연 2,400만 원 이하 청년이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기존(40만 원 한도 6%) 2.4만 원에 더해 추가 구간(40~70만 원) 3%가 적용되어 총 3.3만 원을 받습니다. 그 결과 일반적금 대비 효과금리 연 최대 9.54%까지 올라갑니다.
2-2. 3년 유지 후 중도해지 완화
3년만 유지해도 부득이한 중도해지 시 비과세 유지 + 정부기여금 60% 지급으로 손실을 크게 줄였습니다.
“끝까지 못 갈까” 망설였던 청년에게 탈출구이자 안전장치가 생긴 셈입니다.
2-3. 2년 유지 시 ‘부분 인출’·‘신용 가점’
가입 2년 경과, 누적 800만 원 이상 납입이면 신용점수 5~10점 가점이 자동 반영됩니다(NICE·KCB 세부 기준).
부분 인출은 가입기간 중 1회, 원금의 최대 40% 범위에서 가능합니다(’25 하반기 시행). 유지의 보상을 제도에 심었습니다.
3. 누가 가입할 수 있나(자격 요건)
- 나이: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34세(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차감).
-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500만 원 이하(단, 6,000만~7,500만 원 구간은 정부기여금 없이 비과세만 적용).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24부터 상향).
- 제외: 최근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등.
- 특례 인정: 육아휴직급여·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도 가입 가능(비과세소득 인정).
요건 확인은 서민금융진흥원이 비대면으로 진행하며, 매년 유지심사로 소득 변동을 반영해 기여금 비율을 최신화합니다.
4. 얼마를 받나(정부기여금 구조 한 장 요약)
’25.1월 납입분부터 적용되는 공식 표를 기준으로 핵심만 압축합니다. (월 납입 70만 원 기준, 일부 구간 발췌)
- 총급여 2,400만 원 이하:
- ① 40만 원 구간 6.0% = 24,000원
- ② 40~70만 원 3.0% = 9,000원
→ 월 최대 33,000원
- 총급여 3,600만 원 이하: 29,000원
총급여 4,800만 원 이하: 25,200원
총급여 6,000만 원 이하: 21,000원 - 6,000만~7,500만 원: 기여금 없음(비과세만 적용)
출처: 서민금융진흥원 공식 안내(정부기여금 지급 구조).
5.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나(일정·절차)
- 신청 주기: 매월 초 영업일 중심으로 비대면 신청(취급은행 앱).
11개 은행 참여: 국민·기업·농협·신한·우리·하나·경남·광주·대구·부산·전북. - 흐름: 은행 앱 신청 → 서민금융진흥원(나이·개인·가구소득) 확인(약 2주) → 계좌 개설 안내. 1인가구/다인가구에 따라 개설 가능 기간이 구분 공지되기도 합니다(월별 공고 확인).
은행명 | 홈페이지 주소 |
국민은행(KB국민) | https://www.kbstar.com |
기업은행(IBK기업) | https://www.ibk.co.kr |
농협은행(NH농협) | https://banking.nonghyup.com |
신한은행 | https://www.shinhan.com |
우리은행 | https://www.wooribank.com |
하나은행(KEB하나) | https://www.kebhana.com |
경남은행 | https://www.knbank.co.kr |
광주은행 | https://www.kjbank.com |
대구은행(DGB대구) | https://www.dgb.co.kr |
부산은행 | https://www.busanbank.co.kr |
전북은행 | https://www.jbbank.co.kr |
팁: 미리 가족(가구원) 동의를 받아두면 심사가 빨라집니다. 가구원은 등본 기준(배우자·부모·자녀·미성년 형제자매)로 판단합니다.
6. 어떻게 설계하면 좋을까(실전 전략)
- 70만 원 풀 납입 + 자동이체
정부기여금은 납입액 비례입니다.
여력이 된다면 70만 원 설정이 유리합니다.
추가 매칭 3%가 매달 ‘꾸준함’의 보너스를 만듭니다. - 유지심사 달력화
매년 1회 유지심사로 소득 변화가 반영됩니다.
승진·이직으로 소득이 오른 해에는 기여금 구간 조정을 염두에 두세요.
납입을 멈춰도 계좌는 유지되지만, 납입한 달만 기여금이 붙습니다. - 2년의 리워드
2년/800만 원을 채우면 신용점수 5~10점 가점 대상이 됩니다.
주담대·전세대출 등 다음 스텝의 금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체감 가치가 큽니다. - 3년의 안전장치
만기까지 가기 어렵다면 3년을 목표선으로 두세요. 그 이후 부득이한 해지에도 비과세 유지 + 기여금 60%가 남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일시납입’ 연계 만기금을 한 번에 넣고, 정부기여금도 일시에 매칭받는 구조를 활용하세요. 18개월 선납 효과 등 케이스별 계산 예시가 공식 자료에 제시됩니다.
7. 중도해지·부분인출·특별중도해지, 어디까지 가능한가
- 중도해지 기본: 원칙적으로 불리하지만, 3년 이상 유지 후 부득이한 해지 시 비과세 + 기여금 60%로 완화.
- 부분 인출(’25 하반기~): 가입 2년 경과, 원금의 최대 40%, 1회 한정. 긴급자금 필요 시 중도해지 대신 안전판으로 활용.
- 특별중도해지: 사망·해외이주·퇴직·폐업·천재지변·3개월 이상 치료·생애최초 주택 구입·혼인·출산 등은 증빙 제출 시 특별해지로 인정.
8. 2025년 이후, 무엇이 달라지나(세법개정안 체크)
정부는 2025년 세제개편안에서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배당소득 비과세 적용기한을 ’25년 말로 일몰하는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올해(2025) 안에 가입하면 기존 비과세가 적용되지만, 내년 신규 가입부터는 동일 구조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체 상품(예: ‘청년미래적금’) 검토가 병행되고 있으니, 혜택을 확실히 받으려면 2025년 내 가입이 안전합니다.
9. 은행 선택과 금리 비교 팁
- 금리는 은행 자율(3년 고정 + 2년 변동). 같은 도약계좌라도 은행별 우대조건·부가혜택이 다릅니다.
-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공시 금리와 조건을 확인한 뒤, 주거래 은행 우대와 납입 편의성을 함께 고려해 선택하세요.
10. 신청 절차(요약 단계)
- 취급은행 앱 접속 → ‘청년도약계좌’ 선택, 연령·금융소득 종합과세 여부 등 1차 확인.
- 가구원 동의 및 정보제공(행정정보 공동이용으로 비대면 확인).
- 서민금융진흥원 심사(약 2주) 후 결과 통보 → 계좌 개설. 월별로 1인가구 / 2인 이상 가구 개설 창구 일정이 공지될 수 있으니 해당 월 공지를 꼭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Q1. 올해 가입하면 무엇이 가장 달라지나요?
A. 정부기여금 상향(최대 3.3만/월), 3년 유지 시 중도해지 완화, 2년 유지 시 부분 인출·신용점수 가점이 핵심입니다.
혜택의 저변이 넓어졌습니다.
Q2. 가구소득 기준은 180%인가요, 250%인가요?
A. 현재는 기준 중위소득 250%입니다(’24부터 완화).
공식 안내를 확인하세요.
Q3. 개인소득 6,000만~7,500만 원이면 가입이 안 되나요?
A. 가입은 가능하지만 정부기여금은 미지급, 비과세만 적용됩니다.
Q4. 군 복무 중이었는데 소득이 군 급여뿐입니다. 가입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군 장병급여·육아휴직급여도 소득으로 인정하는 특례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Q5. 부분 인출은 몇 번, 얼마나 되나요?
A. 가입 2년 경과 후 1회, 원금의 최대 40% 범위에서 가능합니다(’25 하반기 도입). 긴급자금 수요에 대비한 제도입니다.
Q6. 신용점수 가점은 어떻게 받나요?
A. 가입 2년 이상 + 800만 원 이상 납입 조건 충족 시 5~10점 가점(NICE·KCB 기준). 신용정보 제공 동의가 필요합니다(웹페이지에서 추가 동의 가능).
Q7. 3년만 유지하고 해지해도 손해가 없나요?
A. ‘손해 없음’은 아닙니다. 다만 비과세 유지 + 정부기여금 60%를 받을 수 있어 손실이 크게 완화됩니다.
최선은 만기 유지, 차선은 3년 유지입니다.
Q8. 청년희망적금과의 연계는 어떻게 하나요?
A. 만기금을 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수 있고, 정부기여금도 일시 매칭됩니다.
공식 예시를 참고해 납입액·기간을 설계하세요.
Q9. 월별 신청·개설 일정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A. 취급은행 앱 공지와 금융위원회·서민금융진흥원 월별 안내를 확인하세요.
1인가구/다인가구 개설 창구가 분리되는 달도 있습니다.
Q10. 2026년에 가입해도 비과세가 되나요?
A. 정부의 ’25 세제개편안에는 비과세 일몰 방침이 담겼습니다.
2025년 내 가입분까지만 종전 비과세가 적용될 전망입니다(국회 입법·시행 확인 필요). 서둘러 요건을 점검하세요.
마무리
정책은 숫자로 설계되지만, 목돈은 생활의 체온으로 모입니다.
월 70만 원의 결심, 2년의 성실, 3년의 안전장치, 5년의 완주—이 모든 궤적이 당신을 다음 출발선으로 데려다 줄 것입니다.
공식 자료에서 확인된 변화와 일정을 토대로, 올해(2025년) 안에 당신만의 설계를 시작해 보세요.
참고·출처(주요 근거):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안내, 금융위원회 보도자료(’25 정부기여금 확대·중도해지 완화·부분인출·신용가점), 청년희망적금 연계가입 공식 안내, 기획재정부 ’25 세제개편안(비과세 일몰) 등. 각 문단에 인용 표시했습니다.
주의사항: 본문은 2025년 8월 9일 기준 공개 자료를 반영했습니다. 제도·세법은 변동될 수 있으니 금융위원회·서민금융진흥원·기획재정부의 최신 공지를 항상 재확인하세요.
고용보험가입 이력 조회 가입자 명부 가입 여부 기간(+ 가입증명서 출력)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방법부터 실업급여 수급 조건, 경력 증명 활용법, 가입기간 불일치 해결 절차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PC·모바일·정부24·고용보험 토탈서비스를 통한 조회 방법과
withsapientia.com
박승수 뉴캐슬 이적 이적료 주급 연봉 인스타그램
2007년생 윙어 박승수가 뉴캐슬 유나이티드에 입단했습니다. 공식 발표 일자, 계약 성격(U-21 합류), 프리시즌 활약, 전술적 가치, 성장 로드맵, 그리고 한국 축구에 미칠 파급효과까지 한 편에 정
withsapientia.com
건축물대장 열람 무료발급 세움터 인터넷 발급 민원24
건축물대장으로 불법 증축 확인하는 법부터 부동산 계약 시 유의점까지! 안전한 거래를 위한 실전 활용법을 알려드립니다.[1부] 건축물대장이란? 부동산 거래 전 꼭 확인해야 할 핵심 서류!건축
withsapientia.com
화물차운송자격증 시험 일정 시험장 시험시간(+취득 절차 완벽 가이드)
화물운송업에 종사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화물차운송종사 자격증. 이 글에서는 응시 자격부터 시험 접수, 과목별 학습 전략, 합격 후 자격증 수령까지 2025년 최신 기준에 맞춰 모
withsapientia.com
SKT 위약금 면제 환급 신청 방법 총정리(+ 추가 혜택 요금 데이터)
SKT가 위약금 전액 면제와 8월 통신요금 50% 할인, 5개월간 매월 데이터 50GB 추가 제공을 발표했습니다. 알뜰폰 포함 전 고객 혜택과 신청 방법, T멤버십 50% 할인, 보안 강화 대책까지 한눈에 정리했
withsapientia.com